노스웨스턴대학 연구팀이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노화 유발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사람, 쥐, 생쥐, 송사리에서 채취한 다양한 신체조직의 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해석한 연구를 통해 노화 과정에서 일어나는 분자 수준 변화의 대부분은 유전자 길이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이 발견으로 나이를 늦추거나 역행시키는 치료가 개발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연구 결과(논문명: Aging is associated with a...
저작권 침해 관련 메일을 통해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각별히 필요하다. 이메일은 '이미지 저작권 위법 관하여 메일드려요'라는 제목으로 유포되고 있다. 또한 보안 프로그램을 우회하기 위해 비밀번호가 설정 된 압축파일이 첨부되어 있다. 압축 파일 내에는 한글 아이콘을 위장한 실행파일과 이미지 파일이 포함되어 있다. 해당 파일을 사용자가 실행하면, LockBit 랜섬웨어가 실행되며 사용자 PC가 감염된다. 이는 기존에 유포하던 LockBit 랜섬웨어와 확장자명, 랜섬노트 등 주요 특징들이 같다. 비너스락커(VenusLocker) 조직은 지속적으로 저작권 위반, 입사지원서 등 키워드를 이용한 피싱메일을 통해 랜섬웨어를 유포 중에 있다. 에브리존 김준영 팀장은 “랜섬웨어 유포자들은 컴퓨터에 잠입해 내부문서나...
사물의 질감이나 곡면까지 느낄 수 있는 ‘터치 서페이스(Touch Surfaces)’나 초음파로 아무것도 없는 공중에 촉감을 발생시키는 ‘공중 촉각 터치패널’ 등이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 애플이 미국 특허청에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의 '촉감으로 입력하는 스크린 키보드‘ 특허를 출원했다.애플이 출원한 ‘촉감 스크린 키보드’ 특허는 ‘정전기 촉감 전극에 의한 정적 패턴(Static Pattern Electrostatic Haptic Electrodes)’이라는 정식...
과학자들이 애플워치와 같은 웨어러블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해 코로나 19(COVID-19) 감염 조기 진단에 이용하기 위해 연구 중이다.최근 웨스트버지니아대 록펠러 신경과학연구소(West Virginia University Rockefeller Neuroscience Institute)와 WVU 메디슨 연구진은 스마트 반지 ‘오우라 링(OURA Ring)’을 이용해 코로나 19 증상이 나타나기 3일 앞서 감지할 수 있는 디지털 플랫폼을 만들었다.연구진은 오우라 링을 통해 600여명...
 SF 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스스로 치유하는 로봇은 이제 더 이상 상상이 아니라 현실이다.막스플랑크 지능형시스템연구소(MPI-IS)와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PSU) 공동 연구팀은 오징어에서 영감을 얻어 손상된 후 1초 안에 스스로 치유할 수 있는 고강도 합성 단백질 재료를 개발했다. 연구 결과(논문명: Biosynthetic self-healing materials for soft machines)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머티리얼스(Nature Materials)에...
 생체인식 개인식별은 지문, 홍채 또는 망막 스캔, 음성인식 시스템 등 다양하다. 또한 귀 모양, 얼굴, 손등 혈관 패턴, 보행 패턴, 심장 리듬, 심지어 키보드 사용 등 인간 개개인 특징도 사용될 수 있다. 이번에는 사람 웃음이 생체인식에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논문명: Laughter signature: a novel biometric trait for...
 네덜란드 홀스트센터(Holst Centre)가 사람의 손안에 있는 정맥 패턴을 감지할 수 있는 세계 첫 유기 근적외선(NIR) 대면적 이미지 센서를 개발해 비접촉식 생체보안 시작을 알렸다.이 센서는 여권, 결제 인증 등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보안성이 뛰어나고 위변조가 불가능한 생체인식 식별로 기존 디스플레이 또는 스마트폰, 현금지급기 화면 등에 쉽게 탑재할 수 있다.손에 있는 정맥...
 한국이 1기가 바이트(GB)당 모바일 통신비용이 가장 비싼 나라 중 하나로 나타났다.영국 광대역 통신 및 TV, 전화, 모바일 서비스 제공 업체인 Cable.co.uk에서 조사한 전 세계 228개국 1GB당 모바일 통신료가 한국은 평균 가격이 10.94 달러로 매우 높은 그룹에 올랐다.2020년 2월 3일부터 2월 25일까지 228개 국가 5,554개 모바일 데이터 요금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일반 스마트폰 카메라로 당뇨병을 발견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개발됐다.캘리포니아주립대학 샌프란시스코(University of California - San Francisco) 연구팀이 일반 스마트폰 카메라로 제2형 당뇨병을 발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적용한 결과 당뇨병 진단 정확도는 81%로 나타났다. 특히 음성예측(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결과도 92~97%로 정확했다. 연구 결과(A digital biomarker of diabetes from smartphone-based...
 실제 선수를 모방한 인공지능(AI) 선수가 놀라울 정도로 현실적인 가상 테니스 경기를 펼쳐냈다.스탠포드대학 연구팀은 사람처럼 사실적인 테니스 경기를 만들어내는 인공지능 기반 선수인 ‘Vid2Player’를 만들어냈다. 연구 결과(논문명: Vid2Player: Controllable Video Sprites that Behave and Appear like Professional Tennis Players)는 아카이브(arXiv) 학술플랫폼에 11일(현지시각) 올렸다. 또한 인공지능 선수가 시연하는 영상도 공개했다.  기존 사람을 묘사한 게임은...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만으로 드론이 실내에서 자율비행을 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시바우라(Shibaura) 공과대학 연구팀이 경량 호버링(정지비행) 실내 드론이 단일 카메라 머신 비전 알고리즘으로 타일 바닥 기준점을 식별하고 해석해 스스로 비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연구 결과(논문명: A study on hovering control of small aerial robot by sensing existing floor features)는  IEEE...
군함에서 레이저 빔으로 무인 항공기(드론)을 격추하는 실험에 성공했다.미국 해군 샌안토니오급 도크형 수륙양용 수송상륙함인 포틀랜드(LPD-27)가 선박에 탑재 한 레이저 무기로 드론을 격추했다고 태평양 함대가 발표했다.태평양 함대는 LPD 27은 함상에 설치된 고출력 레이저 무기인 ‘LWSD(Laser Weapon System Demonstrator)’로 드론 격추 시연에 성공하는 모습을 23일 동영상으로 공개했다.화면 오른쪽에는 LPD 27이 희미하게 보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