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에 하버드(Harvard)-MIT 공동 연구팀이 256큐비트(Qubit) 양자 시뮬레이터를 개발해 여러 가지 양자역학 현상과 양자 요동을 관찰했다. 2019년 구글은 53 큐비트의 양자 컴퓨터로 양자우위를 입증했다. 2017년 IBM은 50큐비트 시제품을 발표했다. 그러나 누구도 현실 문제들인 빅데이터 분석이나 예측/추천, 머신러닝, 고령화/저출산/식량난/코로나 백신 개발 등을 큐비트에 엔코딩해 실험하지는 못했다. 이를 해결하려면 큐비트 수를 1,000~1백만...
미국 보스톤 소재 비영리 연구단체인 퓨처 오브 라이프 인스티튜트(Future of Life Institute, 이하 FLI, http://futureoflife.org/)는 2017년 1월 6일~8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의 아실로마에서 열린 AI 콘퍼런스에서 인공지능의 23개 원칙을 천명했다. 이른바 '아실로마 AI 원칙(ASILOMAR AI PRINCIPLES)'이다. 아실로마 AI 원칙은, 연구이슈(Research Issues)에서 5개, 윤리와 가치(Ethics and Value)에서 13개, 장기적 이슈(Longer-term Issues)에서 5개 등...
요약: 인간 배아세포를 교정하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인 김진수 교수(공동 교신저자), 오레건보건과학대(OHSU, 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의 슈크라트 미탈리포프(Shoukhrat Mitalipov) 교수(공동 교신저자) 등, 한·미 과학자들이, (1) 대대로 유전되어 내려와 젊을 때(20-30대) 비대성 심근증(돌연사)을 일으키는, 4개의 염기 쌍이 망가져 결실된(deleted) 돌연변이 유전자인 MYBPC3를 가진 정자와, (2) 이 변이된 유전자를 자르는 3세대 유전자 가위(Cas9+crRNA)를...
오늘은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는, 그리고 이제 와서 누군가 에게 물어보기도 뻘쭘한 초보 개발자를 탈출하기 위해 필요한 테크닉에 대해 이야기 해 보고자 한다. 초보 개발자가 고급 개발자가 되어가는 과정을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좀 더 게을러지기 위한 강렬하고 적극적인 의지의 표현"이 되겠다. "생산성"이니 "효율성", "정확성"같은 것 들은 프로그래머에게 있어서 부수적으로 얻어지는...
요약: 인간 배아세포를 교정하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인 김진수 교수(공동 교신저자), 오레건보건과학대(OHSU, 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의 슈크라트 미탈리포프(Shoukhrat Mitalipov) 교수(공동 교신저자) 등, 한·미 과학자들이, (1) 대대로 유전되어 내려와 젊을 때(20-30대) 비대성 심근증(돌연사)을 일으키는, 4개의 염기 쌍이 망가져 결실된(deleted) 돌연변이 유전자인 MYBPC3를 가진 정자와, (2) 이 변이된 유전자를 자르는 3세대 유전자 가위(Cas9+crRNA)를...
목차DeepSeek, 강화학습 기반 추론 모델 'R1·R1-Zero' 공개…AI 추론 성능 혁신 DeepSeek Janus-Pro-7B, 멀티모달 AI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분석: 1. 기술적 혁신 1.1. R1 및 R1-Zero 모델의 강화학습 혁신 1.2. 대규모 파라미터 및 MoE 아키텍처 1.3. 멀티모달 AI Janus-Pro-7B2. 벤치마크 성능3. 오픈소스 전략 3.1. 허깅 페이스(Hugging Face)와 오라마(Ollama)를 통한 공개 3.2. 개방성과 비용 효율성4. 글로벌 AI 시장에 미칠...
가트너(Gartner)가 2020년 기업들이 주목해야 할 주요 전략 기술 트렌드를 발표했다. 가트너는 10월 20일부터 24일까지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개최된 가트너 IT 심포지엄/엑스포에서 공개한 전략 기술 트렌드는 두 가지 종류의 기술이다. 초기 상태에서 벗어나 보다 폭넓은 영향력과 활용 사례를 보이는 혁신적인 잠재력을 갖춘 신기술들과 급격한 성장세를 자랑하며 향후 5년 내 정점에 달할 것으로...
편집자 주: 한때 세상을 열광시켰던 애플의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 프로젝트 타이탄(Project Titan)은 결국 실패로 끝났다. 이번 시리즈 기사에서는 타이탄 프로젝트 실패의 원인을 여러모로 분석하고, 이 실패가 애플에는 어떤 의미이고 앞으로 애플은 어떤 전략을 펼칠지 알아본다. 2008년 '애플이 전기차 분야에 진출하려 한다'는 보도가 처음 나온 것은 2014년 2월이었지만, IT 전문기자 웨스 데이비스(Wes...
인공지능의 오해와 진실본 보고서는 창조경제연구회가 2016년 3월 29일 개최한 ‘인공지능과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포럼과 보고서 및 2016년 4월 6일자의 ‘DIGIEO’에 등재한 ‘인공지능의 오해와 진실’의 내용을 약간 업데이트하여 오픈하는 것이다. 차원용 소장/교수/영문학/MBA/공학박사/미래학자 아스팩미래기술경영연구소(주) 국가학기술심의회 전문위원 목 차 1. 제4차 산업혁명이 500만개의 일자를 빼앗는다고? 2. 미국 국방성의...
자율주행차(자율차) 시대가 앞으로 20년 안에는 올 것이라는 관측이 대세이다. 이미 33개의 기업들인, 구글, 애플, 테슬라, 우버, 메르세데벤츠 등 자율주행차를 개발하는 기업들에는 좋은 기회이겠지만, 다른 여러 산업들은 이 거대한 변화에 대응하지 않으면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 리서치 회사 CB 인사이츠(CB Insights)는 2017년 3월 21일에 <자율주행차가 뒤집어 놓을 수 있는...
적정기술이란 영어로 Appropriate Technology(AT) 라고 이야기 하며, 어떤 지역이나 상황에 가장 적합하게 적용되는 상황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지역의 특성에 맞는 기술은 그 지역 내 사람들 경험이 아니고는 찾아내기 어렵다. 그러한 예로서 우리가 일반적이라고 여겨지는 환경이 저개발 국가들의 입장에서는 전혀 보편적이지 않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특히, 전기 공급의 경우 아프리카 등 저개발...
캘리포니아 주에서 허가를 받고 자율차 도로주행테스트를 하고 있는 9개 기업들이 캘리포니아 주의 자동차국에 제출한 ‘2016 자율모드해제 보고서’ 분석 결과, 구글-웨이모(Waymo)가 자율모드로 주행한 거리가 635,868마일(103만km)로 전체의 9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웨이모는 5,128마일(8,250km) 마다 자율모드를 해제해서 기술력으로 보나 안전성으로 보나 최고인 반면, 보쉬(Bosch)의 경우 0.68마일(1.09km) 마다 해제해서, 보쉬의 수준은 웨이모의 0.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