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 이온 배터리 개발인 오스틴 텍사스 대학교의 존 B. 구디너프(John B. Goodenough) 교수가 26일(현지시각) 100세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구디너프는 훌륭한 발명가이지만 매우 긍정적이고 겸손한 사람으로 평가받았다.그의 리튬 이온 배터리 발명은 무선 혁명으로 이어져 전 세계 사람들이 전자기기를 손에 쥘 수 있게 됐다. 그는 2019년 배터리 연구로 스탠리 휘팅엄 빙엄턴...
디바이스가 건강을 지원하거나, 인공 손/피부 등의 촉각센서를 개발해 일반보철의학이나 로봇이나 정상인들의 능력을 향상(증강)시키는 기술들을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오감을 재생시키는 재생의학(Regenerative medicine)도 역시 포함한다. 일반보철의학(인공 눈)미국 워싱턴대 휴먼 인터페이스 기술연구소(HIT LAB)의 탐 퍼네스(Tom Furness) 소장은 2001년에 신경외과 의사들을 위한 인공눈인, 고화질의 버추얼 망막 디스플레이(Virtual Retinal Display)를 개발했다. 현재 마이크로비전(Microvision)사가 상용화에 도전하고...
워싱턴의 비영리단체 ‘리컴포즈(Recompose)와 미국 건축가 올슨 쿤딕 아키텍츠(Olson Kundig Architects)가 2021년에 새로운 퇴비장 시설을 연다고 발표했다.미국 워싱턴주는 지난 5월 세계 최초 사람의 시신을 흙 속에서 급속히 분해하는 퇴비장을 허용하는 법안이 통과됐다. 따라서 2020년 5월 1일부터 퇴비장이 시행된다.미국도 한국처럼 전통적인 매장 또는 화장을 선택한다. 하지만 매장은 넓은 토지와 많은 비용이...
메라비언의 법칙’에 대해서 들어보신 적 있나요? 사람이 말을 할 때 이를 듣는 청중은 다양한 요소를 가지고 판단을 내리는데, 이 중에서 언어적 내용은 단 7%만 좌우한다는 내용입니다. 그렇다면 그 외의 요소들인 제스처나 말투 등이 매우 중요하겠죠? 따라서 우리가 프리젠테이션을 할 때 자세가 매우 중요한 것입니다. 하지만 어떠한 자세가 올바른 자세인지...
국내 스타업 중 사용자 기반 업무 시스템인 SaaS (Software as a Service)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는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눈비소프트’ (Noonbesoft, www.noonbesoft.com)를 방문했다. 눈비소프트가 개발한 피니언은 비지니스 소프트웨어 개발 생태계의 혁신을 가져다 줄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서비스를 꿈꾸고 있었다.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화플랫폼으로 개발과 운영을 동시에 구축할...
구글이 벙어리(deaf)나 난청자(hearing impaired, difficulty hearing, hard of hearing)를 위해 2013년 5월에 '구글 글라스에서 소리를 감지해 글라스 디스플레이에 소리를 표시해주는 방법과 기술(Displaying Sound Indications On A Wearable Computing System(20130124204, 16 May 2013 <- 17 Apr 2012)이라는 특허를 등록했다.예를 들어 소리가 어디에서 들려오는지를 감지해 소리가 나는 방향을 글라스에 표시해주는 것이다....
 스마트폰이 일반화되기도 십 수 년 전 얼리어답터들에게 선망의 아이템은 PDA 이었다.1996년에 Palm Computing사에서 출시된 Palm Pilot은 PDA의 일반화를 주도하며 전 세계적인 대 히트를 기록하게 된다.이후 다양한 모델을 연이어 내 놓으며 시장을 석권했던 팜은 한참 동안이나 전성기를 구가하였으나, 스마트기기로 변환되는 시장에 제대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쇠락의 길을 걷다가 2010년 HP에게...
이번 주제는 구글이 개발하고 있는 혈당(Blood Sugar)을 모니터링 하는 스마트 컨택트 렌즈(Smart Contact Lens)에 대해서 알아보자. 정확히 말하자면 포도당(혈당) 수준(Glucose Level)을 알아내는 렌즈이다. 2014년 1월초에 외신들은 이 기상천외한 구글의 아이디어를 일제히 보도했다. 구글은 이를 위해 눈물(Tear Fluid)에서 혈당수준을 알아낸다?들어가기 전에 생물학적인 상식이 있어야 한다. 우리 몸은 218개 장기로 이루어져...
방사능 물질인 폴로늄(Polonium)과 라듐(Radium)을 발견한 퀴리 부인(마리 퀴리)가 남긴 연구 노트가 100년 이상 지난 지금도 방사능을 내뿜고 있다. 마리 퀴리와 피에르 퀴리 부부는 방사성 물질을 연구했다. 이에 퀴리 부인은 1903년과 1911년에 노벨상을 총 2번에 걸쳐 수상했다.  그러나 퀴리 부부는 방사성 물질의 위험성에 대해 이해하지 못했다. 심지어 퀴리 부인의 일기에는 어두운 곳에서...
요즘 SW 중심사회가 되어야 한다든지 초중고 교과과정에 SW 교육을 의무 교육화해야 한다든지 하는 SW 교육과 인재양성에 대한 필요를 언급하는 정책 발표와 기사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이 모두가 창의적인 SW 인력 양성에 대한 필요성과 국내 SW 기술력 향상이라는 큰 주제로 이루어진 이슈들일 것이다.필자는 그동안 스크랩해 놓은, SW 시장 관련 이슈에...
프란치스코 교황은 역대 교황 중 사상 최초로 프로그래밍에 도전한 기술에 밝은 인물이다. 1,820만 명 팔로워를 보유한 트위터 사용자이기도 하며, 포켓몬고를 차용해 성인(saint)을 획득하는 스마트폰 게임 ''팔로우 지저스 크라이스트 고'(Follow JC Go)의 열렬한 팬이다. 이번에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AI 기술 분야를 선도하는 다국적 기업들과 함께 AI의 윤리적인 활용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프란치스코 교황은...
해외 보고서 및 외신 인용 오보가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특히 국가 경제정책을 계획하고 수립하는 기관의 오보와 오류는 정부 정책은 물론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밖에 없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매월 펴내는 ‘나라경제’ 6월호 ‘세계는 지금’ 섹션 ‘디지털화폐 발행 초읽기 들어간 중국’이라는 글 내용이 그렇다.해당 기고문 내용 중 “인민은행의 8대 중점사업에 포함시켜...